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3기 신도시 전면 분석 (위치, 면적, 시공시행사)

by THESSOL 2025. 7. 25.

3기신도시 관련 공사이미지

3기 신도시는 수도권 주택공급 확대를 위해 정부가 2018년부터 계획한 대규모 공공택지 개발 프로젝트입니다. 총 6개 권역에서 신도시 개발이 진행 중이며, 교통, 자족기능, 생태환경을 모두 고려한 ‘사람 중심 스마트 도시’로 설계되었습니다. 이번에는 3기 신도시의 위치, 면적, 그리고 시행사와 시공사 참여 현황을 분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치: 수도권 핵심 요지에 배치된 6개 신도시

3기 신도시는 수도권 주택난 완화와 서울 집중 해소를 목표로, 교통이 편리한 수도권 내 핵심 지역에 계획되었습니다. 총 6곳의 신도시는 고양창릉, 남양주왕숙·왕숙2, 하남교산, 부천대장, 인천계양입니다. 이들은 서울과의 접근성이 뛰어난 곳에 위치해 있으며, 대부분 지하철 연장 및 광역교통망이 함께 구축될 예정입니다.

먼저 고양창릉 신도시는 서울 은평구와 맞닿은 고양시 덕양구 일대에 위치해 있으며, 면적은 약 813만㎡에 약 3만8천 세대 공급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남양주왕숙은 서울 강동과 연결되는 동북부 지역으로, 1·2지구를 합쳐 약 7만 세대가 공급됩니다. 특히 GTX-B 노선이 왕숙 신도시를 관통하며, 자족기능 중심의 대규모 도시로 설계되고 있습니다.

하남교산 신도시는 위례신도시와 가까운 하남시 교산동 일대에 위치하며, 약 3만 세대 규모로 계획되었습니다. 이외에도 부천대장, 인천계양은 김포공항과 인접한 서부권역으로, 부천·인천·서울을 잇는 광역교통 허브로 개발되고 있습니다. 부천대장은 약 2만 세대, 인천계양은 약 1.7만 세대 수준입니다. 이처럼 3기 신도시는 단순한 주거 공간을 넘어 광역 도시권의 중심지로 설계된 것이 특징입니다.

면적: 총 3418만㎡, 약 17만 세대 공급 예정

3기 신도시의 총 면적은 약 3418만㎡이며, 전체적으로 약 17만 세대의 주택 공급이 목표입니다. 기존 1기·2기 신도시보다 자족시설 및 교통시설 면적이 훨씬 높게 설계된 것이 특징이며, 특히 생태환경과 스마트 인프라가 고려된 구조입니다.

예를 들어, 고양창릉은 전체 면적 중 약 30% 이상을 자족용지와 공원·녹지로 배분해 자연친화적 도시로 조성됩니다. 남양주왕숙1·2는 총 1378만㎡ 규모로, 3기 신도시 중 최대 규모입니다. 여기에 자율주행 기반 도로, 스마트 주차, 공공 와이파이 등이 적용되며, 스마트시티 시범도시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하남교산은 649만㎡의 중대형 택지이며, 주거지와 업무지구, 복합문화시설이 함께 배치됩니다. 수도권 동남부 교통망 중심에 있어 강남 접근성이 매우 뛰어납니다. 부천대장과 인천계양은 각각 343만㎡, 335만㎡로 중소형 신도시에 해당하지만, 김포공항, 서울 마곡지구와의 연계로 개발 가치는 매우 높게 평가받고 있습니다.

특히 이번 3기 신도시들은 이전과 달리 개발 초기부터 ‘일자리’와 ‘교통’을 핵심에 둔 자족형 도시로 기획된 것이 차별점입니다. 단순한 침실도시가 아니라 주거·교통·상업이 공존하는 다기능 도시입니다.

시공,시행사: LH 중심, SH·GH 등 공공기관과 민간 건설사 협력

3기 신도시의 시행 주체는 대부분 LH(한국토지주택공사)입니다. LH는 토지 보상, 지구계획, 택지 분양 등을 총괄하며, 신도시 내 공공주택과 기반시설을 조성하는 핵심 기관입니다. 경기도시공사(GH), 서울주택도시공사(SH), 인천도시공사(IH) 등도 각 지역 특성에 따라 공동 참여 중입니다.

예를 들어 남양주왕숙, 하남교산 등 경기도권 신도시는 GH와 LH가 공동시행 중이며, 고양창릉은 SH와 LH가 협력 개발하고 있습니다. 인천계양은 인천도시공사가 참여하며, 지역 행정기관과 연계해 개발의 효율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시공사로는 현재까지 선정된 주요 민간 건설사들이 일부 사업지에 참여 중입니다. 계룡건설, 금호건설, 현대건설, 대우건설, DL이앤씨, 포스코이앤씨 등 대형 건설사들이 공공분양 시범단지 또는 우선공급 블록에 시공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향후 민간참여형 공공주택, 민간사전청약 등을 통해 더 많은 민간 건설사가 참여할 예정입니다.

이러한 공공-민간 협업 구조는 주택의 품질을 높이고, 자금 운용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 기여합니다. 특히 일부 단지는 제로에너지 건축, 스마트홈 기술 등 민간의 첨단 기술이 접목되고 있으며, 도시 경쟁력을 한층 끌어올릴 전망입니다.

3기 신도시는 수도권 내 주거난 해소를 위한 국가적 프로젝트로, 위치·면적·참여구조 모두 전략적으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서울 접근성과 자족기능을 동시에 갖춘 도시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으며, 교통·환경·기술까지 고려된 미래형 도시입니다. 청약을 고려하시는 분이라면 각 신도시의 특성과 입주시기를 꼼꼼히 비교해 보시고, 사전청약 일정도 함께 체크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