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아파트 단지의 일을 로봇이 일할 수 있을까?

by THESSOL 2025. 8. 1.

로봇이미지

 

안녕하세요 더쏠입니다.

오늘은 아파트에서 로봇이 어떤 일을 할 수 있는지 사례와 앞으로 로봇 기술로 인해 어떻게 변화될지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아파트 단지는 이제 단순한 주거 공간을 넘어, 기술과 자동화가 융합된 스마트 커뮤니티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인공지능(AI), 자율주행, 로보틱스 기술이 접목되어, 단지 내 다양한 생활 영역에서 로봇의 활용 사례가 현실화되고 있습니다. 특히 청소, 보안, 택배, 순찰 등의 영역에서 로봇이 도입되며, 관리 효율성과 입주민 편의가 크게 향상되고 있습니다.

1. 국내 아파트 로봇 활용 사례

① 택배·배송 로봇

  • LH공사 루원시티 시범 운영 (2022~)
    공동현관 출입 인증 후, 택배를 자율주행으로 세대 앞까지 배달하는 로봇을 도입했습니다. 엘리베이터 연동 기능과 함께 모바일 앱 알림도 제공합니다.
  • 현대건설 '하이오티 로봇'
    힐스테이트 일부 단지에서 운영되며, 실시간 맵핑, 경로 인식, 엘리베이터 자동 탑승 기능을 갖춘 배송 및 안내 로봇입니다.

② 순찰·보안 로봇

  • LH 스마트타운 보안 로봇 (2023)
    세종·시흥 단지에서 무단투기 감지, 야간 순찰, 긴급상황 알림 기능을 수행합니다. AI 기반 영상 인식 기술이 적용되어 실시간 대응이 가능합니다.
  • KT AI 보안로봇
    출입문 앞에서 사람을 식별하고 출입기록을 자동 전송하며, 침입 감지 및 안내 역할을 수행합니다.

③ 청소 로봇

  • 삼성물산 래미안 (2024 시범 예정)
    로비, 복도, 지하주차장 등 공용 공간에서 자율 주행 청소로봇을 활용하며, 자동 충전 스테이션과 연동됩니다. 엘리베이터 호출 및 층간 이동 기능도 포함됩니다.

2. 청소 전용 로봇 제품 및 기술

제품명 제조사 특징
Whiz i 소프트뱅크 로보틱스 맵핑 기반 자율 청소, 복도·로비용, 스마트빌딩 연동 가능
Tennant T7 AMR Brain Corp + Tennant 상업시설용 자동 바닥청소, 물청소 가능, 장애물 회피 기능
LG CLOi ServeBot LG전자 안내·청소 겸용, 건설사와 협업 중
Neobot S800 국내 기업 지하주차장 전용 청소, 저소음·고배터리 용량

적용 기술

  • SLAM 기반 자율주행
  • 고속 카메라와 라이다로 공간 인식
  • AI 기반 오염도 분석 및 최적 경로 생성
  • 예약 청소, 충전 스테이션 자동 복귀

3. 연구·개발 및 향후 확대 예정 기술

국내

  • 현대건설 + 삼성SDS: 복합형 경비·청소 로봇 공동개발
  • LH 스마트빌딩랩: 청소 + 쓰레기 감지 일체형 로봇 연구 중
  • KT: 실시간 쓰레기통 채움 감지 및 청소 로봇 호출 기능 상용화 추진
  • 건설기술연구원: 협소 복도에서도 움직일 수 있는 초소형 청소로봇 개발

해외

  • 일본 다이와하우스 프리미엄 맨션: 지하주차장·로비 자동청소 로봇 도입, 배터리 교환 방식
  • 싱가포르 HDB 공공주택: 바닥 청소 및 잔디깎이 로봇 운영, 고령층 대상 안전서비스 결합
  • 중국 Evergrande: 드론+로봇을 이용한 외벽 청소 기술 테스트 중

4. 결론

아파트 단지 내 로봇 기술은 단순 편의성을 넘어, 관리 효율성과 안전성까지 고려한 스마트 커뮤니티 구현의 핵심 수단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특히 청소로봇은 공용공간 위생 관리, 인건비 절감, 유지보수 자동화 등에 기여하며, 국내 주요 건설사들이 적극적으로 도입을 검토 중입니다.

앞으로는 경비, 쓰레기 배출 관리, 택배, 방문자 안내, 방역 등 다양한 기능이 통합된 다기능 로봇 플랫폼이 아파트 단지에서 활약하게 될 것이며, 로봇 활용은 ‘선택’이 아닌 ‘필수’로 자리잡을 것입니다.